DBeaver, Mysql 오토커밋 설정 관련
Last updated
Last updated
DBeaver는 기본적으로 Auto-Commit이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즉, 데이터를 수정하거나 삽입한 후 별도로 COMMIT
명령을 실행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적용됩니다.
(1) 글로벌 설정에서 비활성화
DBeaver 상단 메뉴에서 **Window > Preferences
**를 클릭합니다.
왼쪽 메뉴에서 **Database > Transactions
**를 선택합니다.
오른쪽 창에서 Default auto-commit mode
체크박스를 해제합니다.
Apply and Close
버튼을 클릭합니다.
(2) 개별 연결에서 비활성화
DBeaver에서 데이터베이스 연결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Edit Connection
**을 선택합니다.
Connection settings
창에서 General
탭을 클릭합니다.
Auto-commit
옵션을 찾아 체크를 해제합니다.
**OK
**를 클릭하여 저장합니다.
(3) 현재 세션에서 비활성화
SQL Editor에서 상태바를 확인합니다.
아래쪽 상태바에 **Auto-Commit
**이 표시됩니다.
**Auto-Commit
**을 클릭하면 비활성화됩니다.
MySQL Workbench도 기본적으로 Auto-Commit이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테이블 데이터를 수정하거나 삽입한 후 별도의 COMMIT
명령 없이 즉시 적용됩니다.
(1) 세션별로 Auto-Commit 끄기
MySQL Workbench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합니다.
SQL Editor 화면에서 상태바를 확인합니다.
아래 상태바에 있는 Auto-Commit
버튼을 클릭하여 비활성화합니다.
버튼이 회색으로 바뀌면 Auto-Commit이 꺼진 상태입니다.
아래 이미지는 Auto-commit이 비활성화 된 상태
(2) 글로벌 설정에서 비활성화
MySQL Workbench에는 글로벌 Auto-Commit 비활성화 설정이 없으므로, 세션별로 관리해야 합니다.
(3) SQL 명령어로 비활성화
Auto-Commit을 비활성화하려면 세션에서 다음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이 명령어는 현재 세션에서 Auto-Commit을 끄고, 명시적으로 COMMIT
이나 ROLLBACK
명령을 실행해야만 변경 사항이 적용됩니다.
Auto-Commit을 비활성화한 상태에서는 명시적으로 COMMIT
명령어를 실행해야 변경 사항이 저장됩니다. 예:
ROLLBACK
을 실행하면 모든 변경 사항이 취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