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 관계형 모델
관계형 모델
관계형 모델의 정의
관계형 모델이란 실제 세계의 데이터를 ‘관계’라는 개념을 사용해 표현한 데이터 모델
관계형 모델의 역사
관계형 모델은 1970년대 IBM의 연구원인 에드거 F. 커드(Edgar F. Codd)가 제안하여 데이터를 릴레이션(Relation)이라 불리는 표(Table) 형식으로 표현하고, 데이터를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이론을 개발한 것으로부터 발전함
관계형 모델은 현재 대부분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
릴레이션 (Relation)
릴레이션이란 데이터가 행(Row)과 열(Column)로 구성된 2차원 표 형태로 표현된 데이터 구조를 의미함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는 테이블(Table)이라고 부르고 각 테이블은 고유한 이름을 가짐
릴레이션은 제목(Heading)과 본체(Body)로 구성되어 있음
제목은 속성(Attibute, 릴레이션의 열)이 n개 모인 집합이고 이 속성은 이름과 데이터 형으로 되어 있음
본체는 속성값의 집합인 튜플(tuple, 릴레이션의 행)의 집합
릴레이션의 특징
순서가 없음: 릴레이션의 행과 열은 순서가 없으며, 데이터베이스에서 행과 열의 순서는 논리적으로 중요하지 않음
중복이 없음: 각 행은 고유해야 하며, 동일한 데이터를 가진 행이 두 번 이상 나타날 수 없음
속성(Attribute) & 튜플(Tuple) & 도메인(Domain)
속성(Attribute)
릴레이션의 열을 의미하며, 데이터의 특성을 나타내는 요소
각 속성은 릴레이션 내에서 고유한 이름을 가지며, 해당 열에 저장될 수 있는 값의 타입과 제약 조건을 정의함
학생 테이블에서 학번, 이름, 나이, 전공 등이 속성에 해당함
튜플(Tuple)
릴레이션의 행을 의미하며,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하나의 레코드(Record)를 나타냄
각 튜플은 속성 값들의 집합
학생 테이블에서 하나의 튜플은 '학번', '이름', '나이', '전공'과 같은 속성 값들을 가짐
도메인(Domain)
속성이 가질 수 있는 값의 집합 또는 범위
각 속성은 특정 도메인에 속하며, 도메인은 속성에 허용되는 값의 타입과 제약 조건을 정의함
'성별' 속성의 도메인은 '남', '여'로 제한될 수 있음. '나이' 속성의 도메인은 0에서 120 사이의 정수로 정의될 수 있음
관계형 모델과 집합
관계형 모델은 수학적 집합 이론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조작을 정의함
집합은 객체들의 모임을 정의하고 다루는 학문이고 관계형 모델에서는 이 집합 이론의 개념을 차용하여 테이블과 데이터 간의 관계를 정의
집합 이론은 관계형 모델에서 데이터가 저장되고 관리되는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치며, 데이터베이스의 핵심 개념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따라서 관계형 모델을 이해하기 위해선 집합의 개념을 우선적으로 알아야 할 필요가 있음
Last updated